“ 다케히사 겐조 & 세렌딥 콜레기움 내한공연 ”

2008년 11월 11일(화) 오후 8시
세라믹팔레스홀
  
일반 3만원 / 대학생 2만 4천원 / 초중고등학생 2만원

--------------------------------------------------------------------------------

프로그램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Ouverture for Orchestra No.2 in B minor, BWV.1067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Harpsichord Concerto No.3 in D major, BWV.1054
[on a Silbermann Fortepiano]
  
- INTERMISSION -
   
Georg Philipp Telemann(1681~1767)
Concerto in E minor for Flute and Recorder, Strings and Basso Continuo, TWV.52:e1
     
Dario Castello (c.1590~c.1658)
Violin Sonata No.2 in D major
   
Francesco Geminiani (1687~1762)
Trio Sonata upon Scottish Tune for Two Violins and Basso Continuo
  
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
Concerto for two violins in D minor, BWV.1043
(violins: 오니시 리츠코, 김지영)
        


--------------------------------------------------------------------------------

    
세렌딥 콜레기움
Serendip Collegium
   
오니시 리츠코(Ritsuko Ohnishi), violin / 토시히코 아마노(Amano Toshihiko), violin
세키구치 아츠코(Atsuko Sekiguchi), violin / 하타야 구니코(Kuniko Hataya), viola
소시로다 미츠코(Mitsuko Soshiroda), violoncello
수나야마 요시미(Yoshimi Sunayama), transverse flute
리즈카 나오코(Naoko Lizuka), recorder & percussions
   
conducted by
다케히사 겐조(Takehisa Genzo)
harpsichord & fortepiano
    
(협연 : 김지영, violin / 조영호, double bass)      
         
11월 13일(목)과 14일(금)에 대전 KAIST에서도 연주회가 있습니다.



 


우연히 찾아오는 행운의 순간을 엮어 살아 숨쉬는 음악을 만드는 연주자        

몇 년 전에 내한하여 많은 고음악 애호가들에게 뜨거운 갈채를 받았던 일본의 시대악기 연주단체가 있었다. '콘베르숨 무지쿰(Conversum Musicum)'이라는 이 악단은 뛰어난 앙상블과 창의적인 상상력, 번뜩이는 재치와 유머, 다채롭고 섬세한 표현력, 대담한 즉흥성과 모험 정신에 기반을 둔 개성적인 해석으로 국내 팬들에게 잊을 수 없는 충격과 감동을 선사했다. 그리고 이들의 중심에는 다케히사 겐조(Takehisa Genzo, 武久源造)라는 비범한 인물이 우뚝 서 있었다. 그의 거침 없이 폭발하는 에너지와 자유분방한 정신에 얼마나 감탄했던가! 그는 최근에 '세렌딥 콜레기움(Serendip Collegium)'이라는 새로운 앙상블을 결성했다고 하는데, 이들을 이끌고 다시 한국을 찾는다는 소식을 들으니 옛 기억이 다시 떠오르면서 여간 반가운 게 아니다.
  
다케히사 겐조는 하프시코드나 오르간은 물론이고 한국에서는 좀처럼 구경하기 어려운 포르테피아노까지 즐겨 연주하는 탁월한 옛 건반악기 연주자이다. 비록 앞을 보지 못 하는 장애인이지만 그의 자유롭고 드넓은 음악 세계 앞에서 장애는 전혀 중요한 문제가 되지 못 하는 것 같다. 그는 독주뿐만 아니라 실내악 연주나 앙상블 지휘, 또는 작곡까지 하면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고, 그의 머리 속에는 수없이 많은 음악이 끊임없이 흐르는 가운데 아무에게도 방해 받지 않은 그 자신만의 세계가 자리 잡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그리고 그 세계는 대단히 개성적이고 흥미진진한 아이디어들로 가득하여 그것을 조금씩 엿보는 것은 더없이 즐거운 일이다.
  
무엇보다도 다케히사 겐조는 고음악 연주자이긴 하지만 단순히 여기에 머무르지 않고 아무런 수식어도 붙지 않은 '음악가'이고자 한다. 역사적 정격성에 지나치게 집착하지 않고 때때로 아슬아슬하게 모험을 즐기기도 하는 그의 창의적인 연주 성향은 바로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는 "옛 음악의 의미를 연주자 자신의 언어로 바꾸어 지금 살아 있는 청중에게 들려 줌으로써 감상자가 마음 깊은 곳으로부터 감동 받을 수 있게 하는 것"을 더 중요하게 생각하며, 정통적인 접근법만 맹신하여 음악가에게서 자유를 빼앗는 것에 대하여 단호하게 반대한다. 그런 점에서 다케히사 겐조는 유럽의 고음악 운동을 단순히 모방하는 차원에 그치지 않고 독자적인 세계를 새롭게 창조한 진정한 음악 예술가라고 할 수 있겠다.
  
이번에 다케히사 겐조가 이끌고 오는 연주단체의 이름도 무척 의미심장하다. '세렌딥(Serendip)'이라는 말은 본래 영국의 정치가이자 작가였던 호레이스 월폴(Horace Walpole : 1717~1797)이 <세렌딥의 세 왕자>라는 우화의 내용에 착안하여 만들어 낸 '세런디피티(serendipity)'라는 단어의 어원이다. 이 말은 우화 속에 등장하는 주인공들이 우연히 얻은 행운을 슬기롭게 이용했다 하여 '기대하지 않았던 뜻밖의 행운'을 뜻하는데, 이것은 다케히사 겐조의 음악관과도 밀접하게 통하는 개념이다. 즉, 그는 공연장에서 청중과 긴밀하게 교감을 나누는 가운데 우연히 얻을 수 있는 순간적인 경험들을 중요하게 여기며, 그런 이유로 그의 연주는 언제나 변화무쌍하고 즉흥성으로 넘쳐 나며 청중과 함께 생생하게 살아 숨쉰다. 게다가 그는 매번 뛰어난 즉흥연주를 들려 주기도 하므로 이번에는 또 어떤 연주를 들려 줄 것인지 기대해 볼 만하다.
  
또 한 가지 주목할 만한 사실은, 다케히사 겐조가 이번에 한국에 와서 하프시코드만 연주하는 게 아니라 바흐 시대의 질버만 포르테피아노를 복제한 악기로 바흐의 하프시코드 협주곡을 연주한다는 점이다. 오랫동안 사람들은 바흐가 고트프리트 질버만(Gottfried Silbermann : 1683~1753)이 새로 만든 포르테피아노에 대하여 크게 흥미를 느끼지 못 했다고 믿었고, 클라비코드나 하프시코드가 바흐를 연주할 때 '역사적으로 올바른' 악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바흐가 '새로운 건반악기'를 보다 좋아했을 수도 있다는 가능성에 대하여 학자들이 진지하게 논의하고 있는 중이며, 이러한 변화에 따라 유럽에서도 점차적으로 포르테피아노로 바흐를 연주하는 이들이 하나 둘씩 나타나고 있다. 다케히사 겐조도 이미 한참 전부터 빈식 포르테피아노로 바흐의 하프시코드 협주곡을 연주하곤 했지만 이제는 바흐 시대의 악기로 새로운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는 중인데, 이와 같은 최신 연주 경향을 한국에서 직접 보고 들을 수 있다는 것은 그야말로 '기대하지 않았던 뜻밖의 행운'이 아닐 수 없다.
   

-尙憲-

Special thanks to Hyo-jin Kim, the editor-in-chief of [CODA]
(c) http://period-piano.net/

 


참고로 세라믹 팔레스 홀은 음향도 굉장히 좋은 곳이고, 이들의 연주가  서구 연주자들과 비교해도 전혀 실력에서 뒤쳐지지 않는 다는 사실을 생각할 때 이 정도 공연이면 우리나라에서 즐길 수 있는 최고의 공연이 아닌가 생각이 든다.

평일이어서 갈 수 없다는 사실만 제외하고는 모든 면에서 만족스러운 연주회가 될 것이라 생각한다.






 


About this ent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