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젊은 날의 미켈란젤리, 피아니스트로 ... (1939~1960) ”
코르토는 미켈란젤리에게 그의 사진을 주면서 다음과 같이 사인하였다. "아루투르 베데티 미켈란젤리 당신에게 나의 경의를 표합니다." 이렇게 전설은 시작되었다. 신문들은 앞다투어 열광적인 평가를 내놓았고, 곳곳에서 연주회 요청이 빗발쳤다. 이태리의 메이저 음반사에서는 그에게 레코딩을 제의하였다. 코르토의 논평은 이런한 열광을 가능케 하였고, 평론가들 역시 미켈란젤리에게 호의적이었다.
그러나 곧 유럽전체가 세계 2차대전의 포연 속으로 휩싸여들었고 이탈리아도 피할 수 없었다. 벨기에 왕족이였던 이탈리아의 여왕이 미켈란젤리를 병역의무를 전쟁으로부터 면제시켜주기위하여 중재에 나섰지만, 미켈란젤리는 그 민감한 시기에도 조국 이탈리아를 떠나지 않았다. 그리고 미켈란젤리는 조국을 위하여 군에 지원하였다. 그가 전쟁중에 지원한 병과는 놀랍게도 공군조종사였다. 전쟁중 독일군에게 사로잡혀 포로생활까지 하였지만 포로수용소를 탈출하였고 뒤에는 반파시즘 레지스탕스 활동까지 뛰어들었다. 매우 까다롭고 완벽하게 알려진 미켈란젤리였지만 그도 평범한 사람처럼 조국에 대한 뜨거운 열정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세계 2차세계대전중의 미켈란젤리의 경력은 다른 예술가들에서는 전혀 찾아볼 수 없는 그만의 독특한 경력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그가 자기 직업을 대하는 태도는 열정이라기보다 일종의 의무감에 가까웠다. 그는 매일 열 시간씩 연습을 빼놓지 않았다. 병약한 체질이었던지라 오랜 연습이 근육통과 관절의 통증을 동반했지만 잔꾀를 부리지 않았다. 그의 콘서트는 종교적 체험에 가까웠다. 무대뒤에서 빠져나오듯 걸어나와 소리도 내지 않고 피아노 앞에 섰다. 인사는 절제되어 엄숙하기까지 했다. 청중들이 숨을 죽인 가운데 절제된 동작으로 먹이를 낚아채는 맹수처럼 건반을 잡아챘다. 피아니시모에서는 핀 떨어지는 소리도 들을 수 있을 정도였다. 잦은 이주 속에서도 알프스의 산들이 보이는 곳에만 거처를 정했으며, 연주여행 때문에 며칠 동안 눈쌓인 산을 보지 못하면 불안해하였다던 미켈란젤리. 그의 연주 또한 눈쌓인 산을 닮았다. 또렷하고 정갈한 터치, 차가움이 느껴질 정도의 정밀한 기교, 오케스트라를 맞먹는 포르티시모까지 포용하는 웅장한 스케일이 그의 연주에 있었다.
세월이 흐르면서 미켈란젤리의 극도로 세심한 터치는 피아노 색채의 완벽한 균형을 이루어 나갔고 몇몇 선각자적인 피아니스트들(리히터, 굴드등...)과 함께 미켈란젤리는 피아노 연주의 기교적, 음향적 한계를 향해 끓임없이 나아갔다. 그것은 정밀함, 우아함 그리고 힘을 겸비한 실현할 수 없는 이상향을 향한 노 예술가의 정진였다.
About this entry
- You’re currently reading “ 젊은 날의 미켈란젤리, 피아니스트로 ... (1939~1960) ”
- Published:
- 2009. 3. 19. 18:59
- Category:
- 미켈란젤리_삶...
Trackback :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