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 - 2 ”

사용자 삽입 이미지

슈베르트 피아노 소나타 D.537 에서는 앞에서도 언급하였던 화음변화의 단절과 다이내미즘의 절제의 문제점들이 나타나곤 한다. 그의 해석은 빌헬름 켐프에 못지 않게 아름답고 순수한 전원을 그려낸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그의 전원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다. 아름답되 건조한 전원, 인간과 사귀지못한 미켈란젤리의 특징이 음악에 투영되는 것 같다.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쇼팽의 음반에서도 이러한 문제점은 약간씩은 나타난다. 쇼팽의 순수하고 아름다운 성격은 부각시키지만 내재되어 있는 쇼팽의 정열이나 아픈 정서의 흔들림은 잘 나타내지 못한다. 쇼팽에 대하여 경건한 느낌이 들 정도이기도 한다.


그가 쇼팽을 연주하는 과정에서 중시하는 과정은 음에대한 철학일 것이다. 이런 과정은 비단 다른 작곡가의 곡을 연주하는 과정에서도 중시하겠지만 쇼팽의 곡에서는 두드러진다. 곡이 본래 의도하는 것에는 크게는 충실하지는 않지만 그가 살리는 쇼팽은 약간은 다른면모 - 사실적이고 안정되어있는 면 - 를 나타낸다.


그렇지만 미켈란젤리가 연주하는 발라드 제 1 번에서는 이런 면과는 약간 다른 연주색을 들려준다. 이 곡에서는 감정의 차이가 극명한 면이 드러나면서 음 개개의 색이 크게 드러난다. 그는 쇼팽을 연주하면서 곡의 성격을 바꾸어 놓는 경우가 있다. 그가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연주하였던 이별의 왈츠를 들어보면 이런 면을 알 수 있다. 이별의 왈츠의 성격은 쇼팽 자신이 이별에 대하여 역설적으로 나타내려고 하는 곡이라고한다.


미켈란젤리의 이 왈츠는 왠지 모르게 기쁜면이 드러난다. 우중충하게 애수적인 면도 드러나기는 하지만 전반적인 곡 분위기를 기쁘게 이끌어 가고 있다. 이런 면에서는 그의 어쩔줄 모르면서 사는 생활이 드러나고는 한다. 전번적으로 드러나는 쇼팽연주색은 자유분방성을 중시하되 속도 면에서는 왜 인지 둔하다는 느낌을 주기까지 한다.


낭만주의 영역에서 쇼팽의 연주 색이 분분한 느낌을 준다면 슈만에 대한 해석은 상당히 좋은 평을 받는다고 한다. 빠른 속도 설정과 강한 표현으로 피아니시모와 메조 포르테를 오가는 축제를 벌이는 연주를 하게 된다. '팡파레' 지의 레이몬드 터틀은 이렇게 말하고 있다. "난 미켈란젤리 숭배자가 아니다. 그러나 그의 연주가 훌륭하다는 것만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다. 고전주의와 낭만주의가 가진 절제와 자유의 그 좁은 틈을 노니는 견고함과 친절함을 아울러 가지고 있는 연주자다."


리스트의 음악에서는 왠지 모르게 순수한 테크닉이 아닌 과학적인 탐구를 적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완벽한 비르투오시티와 장인 정신으로 음을 세공하려는 움직임을 보인다. 리스트 음악의 특징은 넓은 스케일과 불규칙적인 리듬 , 분절된 악절, 현란한 중음 트릴과 아르페지오등인데.....

미켈란젤리에게 있어서 이런 것들을 처리하는 능력은 확실하다. 미켈란젤리의 명반 중에서는 또 꼽을 것이 있다면 드뷔시의 피아노곡 앨범일 것이다. 프렐류드 1,2 집은 1978년과 1988년 10년의 사이를 두고 제작되엇다고 하는데 여기서 그의 완벽주의를 읽을 수 있다.

이런 긴 세월이 걸린 만큼 실제로 음 하나하나가 철저히 연마되어 있으며 신비의 경지에 도달해 있다. 그리고 점묘적인 묘사는 음과 여백사이에 감추어진 신비를 차분하게 드러낸다. '어린이 차지' 에서는 페달터치가 놀랍게 드러난다. 전주곡에서 드러나는 그의 연주색은 괴팍한 면모를 드러낸다. 연주가 기분대로 색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그것은 인상주의 음악에 대한 다양한 변신을 그러내는 것 같기도 하다.

항상 그의 표정에서는 무엇인가에 대한 불만을 읽을 수 잇는데 음 하나하나에서는 항상 기꺼이 연주를 하는 모습이 연주속에 들어있다. 평론가들은 이렇게 말을 하고 있다. 바로크에서 시작한 그의 음악색은 이제 인상주의까지 발을 들여 놓았고 한 획까지 그은 연주를 하였다.

화려한 음색은 아니지만 통일된 음조 속에서 미묘한 조화나 뉘앙스를 추구하는 형태라고 할 수 있다. 그의 피아니시모는 다른 예술가들보다는 최소한 세 배나 구분되어 들린다. 아티큘레이션에서도 구별된다. 평론가들은 이 미켈란젤리는 현존하는 피아니스트중에서 가장 완벽에 가까우며 독창적인 피아니스트라고 한다.

그렇지만 그에게 있어서 아쉬운 점이 있다면 피아노의 투명성과 정확성에서는 앞섰지만 왠지 모르게 탄식하거나 열광하는 인간미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그래서인지 그는 인간이 아니라 하늘을 쳐다보고 산 수도승이라는 말이 어울리는 것 같다.


미켈란젤리를 바라보는 눈은 그에게서 무엇을 보느냐에 따라서 상당히 다르다. 이런 사례는 미켈란젤리가 누구인지를 말하는 것을 밝히는 자료가 될 것이다. 마르타 아르헤리치는 미켈란젤리의 제자라고 한다. 그녀가 일본을 방문하였을 때 그녀는 미켈란젤리에 대하여 이렇게 말했다고 한다. '음악에 대하여는 아무것도 가르쳐 주지 않았다. 맛있는 스파케티를 위한 국수 삶는 법, 산책하는 방법, 그의 문학과 역사에 관한 것 등이 음악레슨의 전부였다."


그렇지만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는 이렇게 말한다. "연주생활 중에 그와 함꼐 식사하는 경우가 많았다. 그러나 그의 화제는 항상 예술에만 머물러 있엇다... 그의 삶은 교요햇지만 그의 예술은 마술과도 같았다."

이런 상반된 평가는 어디서 오는가? 그것은 미켈란젤리 자신에게서만 나온다. 그는 자신이 좋아하는 것과 싫어하는 것에 대한 구분이 너무나 명확햇다. 나중에 그는 자신이 아르헤리치를 별로 신통찮은 연주가라고 말한 바 있다.

미켈란젤리는 참으로 기구한 삶을 살았다. 자신이 처해잇는 운명이 전혀 음악과는 무관하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겠지만 그의 삶은 음악과 소원하여 있을 경우에도 항상 음악이었다. 그리고 외로운 생활을 하였지만 왠지는 모르게 그에게는 날카로움이 있었다. 예술에 대한 그의 생각은 상당히 심도 있엇지만 사람들을 대하는 점에서는 기분내키는 정도라고 하였는데........

그의 생활을 살펴보면 그의 음악 철학을 알 수 있을 것 같다. 다음 3 번째 글에서는 그의 생활과 연관된 음악 철학과 그의 연주가 수록된 음반에 대하여 쓸까합니다.




------------------------------------------------------------------------------------------

[134] 제목 : [단디24] 아르투로 베네데티 미켈란젤리-2
올린이 : fredsak (오종철  )    97/08/25 11:17    
출처 : 출처 :
http://cafe.naver.com/gosnc/




About this entry